본문 바로가기

정보

트위터 탈퇴하는법 (계정 비활성화 방법)

반응형

트위터 탈퇴하는법 (계정 비활성화 방법)

오늘은 다양한 SNS 중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트위터의 아이디 (계정)을 탈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우선 트위터 계정을 탈퇴하기 위해서는 포털 검색창에 트위터를 검색하시거나 트위터의 주소인 twitter.com 에 직접 접속하셔야 합니다. 우선 오늘은 대한민국의 대표 사이트라고 할 수 있는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에서 검색하여 접속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.

▼ 우선 트위터의 계정을 탈퇴하기 위해서는 트위터에 접속해야합니다. 트위터에 접속하기 위해 검색창에 트위터를 검색하고 아래 사각형 안에있는 링크를 클릭해주시면 트위터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.

▼ 트위터에 접속하게되면 아래와 같은 메인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. 이 화면 우측 상단에 보면 로그인을 할 수 있는 버튼이 있습니다. 이 버튼을 클릭하여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 로그인을 해줍니다.

▼ 자신의 트위터 아이디로 로그인 했다면 우측 상단 자신의 프로필 사진을 클릭해주세요. 클릭을 했다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. 이 창에서 '설정 및 개인정보' 를 클릭하여 자신의 개인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로 넘어가도록 합니다.

▼ 해당 버튼을 클릭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. 이 페이지 가장 아래에 있는 링크인 '계정 비활성화하기' 버튼을 클릭해주세요.

▼ '계정 비활성화하기' 버튼을 클릭했다면 아래와 같은 확인 메시지가 나타나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. 계정을 비활성화하기 전 유의할 다양한 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페이지입니다. 

특히,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간인 30일 이후에는 모든 정보가 삭제되기때문에 비활성화 이후 30일 내 재접속한다면 계정을 다시 살릴수 있으며, 아이디 혹은 주소를 바꾸기 위해서 탈퇴할 필요가 없다는 메시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 이 점을 모두 숙지했다면 가장 아래에 있는 파란 버튼을 눌러 계정을 비활성화시켜줍니다.

▼ '계정 비활성화하기' 버튼을 눌렀다면 아래와 같이 비밀번호를 재입력해 본인을 확인하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. 정확한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 아래에 있는 파란 버튼인 '계정 비활성화' 버튼을 클릭하여 계정을 비활성화 시켜주도록 합니다.

▼ 이 버튼을 누르는 순간 자신의 트위터 계정이 비활성화 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오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. 비활성화 이후 30일동안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이 기간내에 로그인을 한다면 아이디를 다시 활성화시켜 줄 수 있으며, 30일동안 로그인을 하지 않는다면 자신의 계정이 삭제됩니다.


지금까지 트위터 아이디(계정)을 비활성화시켜 트위터 탈퇴 하는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감사합니다.


반응형